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2. 운명보다 가까운 만남

운명보다 가까운 만남

현지

   예술 작품에 대해 떠올리면, 생각나는 작가나 작품이 있나요? 있다면, 지금 생각하고 있는 것과의 첫 만남은 어땠나요? 작품을 통해 작품 속 인물이 나에게 말을 걸고 있다는 것을 느낀 경험이 있나요? 저는 에드바르 뭉크(1863~1944)의 〈사춘기〉(1894~1895)를 보며 제 자신을 비추어 보았던 순간을 여러분과 나누고 싶습니다. 이 작품을 처음 본 순간은 필기구와 책들이 어질러져 있는 책상 위, 방구석에 펼쳐진, 이은기·김미정의 『서양미술사』 436쪽이었습니다. 분명 낭만적인 곳에서 눈이 번쩍 뜨이는 듯한 특별한 만남은 아니었습니다. 그렇지만 이 작품이 제 마음속으로 들어오는 데에는 그리 오래 걸리지 않았습니다.

   뭉크의 〈사춘기〉 속 어린 소녀는 딱딱해 보이는 침대에 어딘가 불편한 듯 경직된 자세로 걸터앉아 있습니다. 그리고 어깨를 웅크린 채 양손을 포개며 몸을 슬며시 가리고 있습니다. 그 뒤로 소녀의 오른편에 드리워진 검은 그림자는, 기이한 모양으로 몸에서 빠져나온 영혼의 형태 같습니다. 마치 소녀의 몸에서 삐져나온 두려운 마음을 보여주는 듯합니다. 또한 거친 붓 터치와 중후한 느낌의 색감은 사춘기를 맞아 여러 변화를 마주친 소녀의 불안한 마음을 한층 두껍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제 시선을 붙잡은 것은 소녀의 눈과 미묘한 표정이었습니다. 소녀의 눈동자 속에는 걱정, 당황, 다부진 다짐 그리고 싱숭생숭함이 한대 뒤엉켜있었습니다. 저는 이 모습이 새로운 출발선에 섰을 때 제 모습과 닮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과연 내가 원하는 대로 흘러가게 될 것인지에 대한 걱정과 뜻대로 되지 않았을 때의 당황, 그럼에도 끝까지 해내 보겠다는 다부진 결심과 어쨌든 새로운 시작이 가져다주는 두근거림과 어수선한 마음을 소녀의 눈 속에서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공부를 위해 아무 기대 없이 펼친 책 속의 작품에 제가 빠지리라고는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일상생활 속 SNS, 책 등에서 쉽게 예술작품을 볼 수 있는 것처럼, 예술작품에 나의 마음을 비춰볼 수 있는 순간도 항상 열려있음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작품의 감상을 통해 우리는 우리 자신을 성찰할 수도 있고, 새로운 세계를 만나게 될 수도 있고, 어쩌면 마음속 깊이 묻혀있는 취향과 만나게 될 수도 있습니다. 감상에는 답이나 형식이 있는 것이 아닙니다. 좋은 작품은 내가 공감할 수 있고, 작품과 나를 연결하며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작품일 것입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1. 프로젝트 코드: 되기

프로젝트 코드: 되기 강리 붉은 글씨로 날짜를 새기어 넣는 구식 필름 카메라가 간신히 포착한 순간들이 있다. 가장 먼저 길가에 털썩 주저앉은 히스패닉 여성이 보인다. 자연스럽게 굽은 등 뒤로 풍성한 컬을 자랑하는 가발이 흐른다. 네온 색상의 탑이 그을린 피부를 강조하고, 볼드한 귀걸이와 목걸이가 시선을 모아 독특한 화장법을 가리킨다.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다음 장으로 넘겼다. 그런데 화려하게 꾸미고 여름볕을 활보하던 그가 짧은 머리에 투박한 안경을 하고서 파란 벨벳 소파에 누워있다, 여자를 안고. 나는 재빨리 다음 장으로 향했다. 바지를 끌어내리는 여자를 따라가던 노골적인 손이, 이번에는 폴을 잡고 있다. 그는 이제 클럽에서 레오파드 비키니를 입고 섹슈얼한 춤을 춘다.  우연한 순간을 낚아챈 듯한 이미지 속에서 그는  히스패닉 이 되었다가,  부치(Butch) 가 되었다가,  스트리퍼 가 되기도 한다. 그는 세상 모든 사람이 되었고, 될 수 있다. 이처럼 니키 리(Nikki S. Lee)는  〈프로젝트(Project)〉(1997-2001) 연작 에서 스냅사진과 퍼포먼스를 이용하여 어떤 무리의 근방역으로 들어간다. 〈히스패닉 프로젝트〉에서 니키 리는 컬러 렌즈를 끼고 피부색을 그을리고 머리를 연장하고 스페니쉬 할렘에서 구입한 옷과 화장품을 사용하여 외양을 변형했을 뿐만 아니라, 뉴욕에서 열린 푸에르토리칸 데이 퍼레이드에 참여하고 할렘의 사람들과 생활하며 그들의 구체적이고 특수한 정황에 접근했다. 히스패닉 코드에 접속하는 니키 리의 이러한 태도는, 히스패닉 양식을 모방한다기보다, ‘히스패닉’이라고 명명된 리듬에 차이를 부여하며 반복하는 리토르넬로(ritornello)¹를 연주하는 일에 가깝다. 리토르넬로는 이질적인 존재들이 공존할 수 있는 ‘사이(entre)’를 생성하고, 여기에서 니키 리는 비로소 히스패닉-되기(devenir)²를 통과한다. 이때 히스패닉-되기가 벌어지는 공간은 니키 리의 ‘몸’이다. 〈프로젝트〉에서 니...

2. 우리는 화초이고 개구리이다

  우리는 화초이고 개구리이다 수연 2020년 여름, 엄마는 직장 동료한테 받았다며 ‘크루시아’라는 이름을 가진 열대 식물을 가져왔다. 엄마는 바쁜 직장 생활에도 크루시아에게 물 주기를 잊지 않았지만, 날씨가 추워지면서 크루시아는 모두가 집을 비웠을 때의 한기를 견디지 못했다. 여름 방학 때 크루시아를 처음 보고 겨울 방학을 맞이해 다시 얼마간 본가에 다녀온 나는 파릇하던 식물이 반년 만에 시들어가던 모습을 보고 생각에 잠겼다. 좁은 화분에 겨우 뿌리를 내리고 힘겹게 자리 잡은 식물은 인간의 미적 관상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손수 길러진다. 식물은 스스로 끊임없이 변화하고 성장하지만, 이는 화분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인간의 관리와 제약 아래 이루어진다. 화분 속 식물에서 현대 사회의 그늘 아래 발버둥 치는 우리의 모습이 보였다. 개인으로서 인간은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사회 체제의 존속을 위한 수단으로 전락하기도 하며, 사회나 특정 집단의 규범에 따라 규격화되기도 한다.  화분에 심겨 길러지는 식물과 사회의 흐름 속에 힘없이 내던져진 인간.  현대인과 식물의 닮은꼴을 인지한 계기는  장성은의  〈 flowerpot〉 연작 이었다. 연작은 2009년에 제작된 4장의 사진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작품의 크기는 45X33.6cm로 동일하며, 모두 보존성을 높인 아카이벌 피그먼트 프린트(Archival Pigment Print)로 인쇄되었다. 동일한 크기와 인쇄 기법으로 제작된 4장의 사진에는 엇비슷한 광경이 포착되어 있다. 먼저 녹색 스타킹을 신은 사람이 다리를 꼬고 꽃문양과 꽈배기 패턴이 새겨진 흰 항아리 안에 서 있다. 전형적으로 관상용 식물의 화분으로 쓰이는 흰 항아리와 녹색의 다리는 은연중 ‘화분 속 식물’을 연상시킨다. 사진마다 다리를 꼰 자세나 스타킹의 색은 제각각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지 않으면 그 사실을 알기 힘들다. 게다가 화분은 방향만 살짝 틀었을 뿐 그 성질이나 모습 자체에서 변화를 찾을 수 없다. 1) ...

4. 나는꿈도잘안꾸는걸

나는꿈도잘안꾸는걸 현지 짙게 깔린 어둠을 배경으로 한 여자가 새하얀 옷을 입고 침대 위에 가로로 걸쳐 누워있다. 상반신은 완전히 뒤로 젖혀져 있고 팔과 머리는 침대 밑으로 늘어져 있다. 마치 깊게 잠든 듯하지만, 중앙의 커튼 사이로 여자를 바라보는 말과 탐욕스러운  표정의 괴물을 보아하니 좋은 꿈을 꾸고 있지는 않음을 알 수 있다. 원숭이 모습을 한 괴물은 그녀를 먹잇감처럼 바라보며 배 위에 앉아 여자를 누르고 있다. 이 괴물은 악마로, 서구 전설 속에 주로 등장하며 특히 혼자 잠자는 여성의 꿈속에 나타나 겁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침실의 커튼 사이로 고개를 내밀고 있는 말의 하얀 눈은 섬뜩하다. 벌름거리는 콧구멍, 살짝 벌어져 있는 입, 바짝 서 있는 귀는 말이 어떤 상태인지를 보여준다. 말 또한 성적 에너지를 상징하여, 여자가 꿈속에서 유린당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존 헨리 푸셀리(1741~1825)는 성적 충동이 불러일으킨 흥분과 쾌락, 공포와 두려움을 담아 그림을 그렸다. 무의식의 영역을 그림으로 옮긴 것이다. 〈악몽〉 을 보고 있으면, 오싹하고 무서운 기분이 들어 그림을 오랫동안 살펴보는 것이 어려웠다. 특히 말에 눈길이 닿으면 얼마 못 가 화면을 꺼야 했다. 나는 악몽을 거의 꾸지 않는다. 꿈을 꾸지 않는 편이며, 꿈을 꾸더라도 금방 잊어버린다. 그래서 꿈보다, 악몽 같은 현실에 압도되는 순간에 대해 말해보고자 한다. 이를테면 버스를 놓쳐서 약속한 시각에 늦을 위기에 처한 상황이다. (사실 늦었다) 한참 기다린 버스가 정류장에 도달했을 때, 집에 두고 온 챙겨야 했던 무언가가 생각난다. 시간 약속은 어기고, 물건은 빠뜨리고. 정말 중요한 물건이 아니라면 버스에 탑승하지만, 악몽이라면 깨어나고 싶은 순간이다. 이와 함께 코로나 시대의 대학생에게 사소한 현실에서의 악몽은 과제가 쏟아질 때이다. 과제를 받았을 때는 분명 넉넉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마감일이 다가올수록 밀려든 과제를 보며 이게 악몽이라면 제발 없어지길 하고 생각하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