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1. 작품에 드리운 마음의 그림자를 따라서

작품에 드리운 마음의 그림자를 따라서

수연

   요즘은 어딜 가든 미술관, 박물관이 생기고 있습니다. 도대체 누가 가길래 계속 만드는 걸까요? ‘우아하고 고상하다고’ 평가받는 예술은 팍팍한 현실과는 완전히 동떨어진 것처럼 느껴집니다. 오늘 하루를 살아가기도 바쁜데 시간을 쪼개어가며 굳이 예술 작품을 감상해야 할까요?

   적어도 저는 예술 감상이 지속되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작품 속에는 예술가들의 분투와 그 끝에 이루어 낸 융화의 조각이 담겨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위대한 천재’라고 불리는 예술가들의 고뇌는 우리가 결코 이해할 수 없는 것이냐 묻는다면, 그렇지 않습니다. 그들도 그저 삶이 녹록지 않은 한 인간이었습니다. 미술사에 위대한 업적을 남겼다고 해서 그들의 삶이 완전하지는 않았다는 말입니다. 오랫동안 성실하게 작업했으나 갖은 오해와 비난으로 힘겨워한 빈센트 반 고흐,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 모두가 그러듯 죽을 만큼 괴로워한 잔 에뷔테른, 평생을 트라우마와 싸우느라 고군분투하기도 한 프리다 칼로도 마찬가지입니다.

   ‘위대한 천재’들 또한 세상을 살아가며 목격하는 수많은 장면 속에서 끊임없이 좌절하고 다시 일어났습니다. 그들의 작품과 제 삶이 겹쳐 보일 때, 세상에 느꼈던 불화의 감정은 어느 순간 해소되었습니다. 거창한 응원이나 조언보다, 작품을 감상하며 저와 비슷한 개인으로부터 받는 위로가 더 컸습니다. 루이즈 부르주아의 설치 작품에서 어머니에게 양가적인 감정을 느끼는 자신을 발견하고, 에드워드 호퍼의 생애와 작품을 대조하며 관계에서의 거리감과 자유에 대한 인간의 욕망을 이해했던 것처럼 말입니다. 이처럼 예술은 때로 말로도, 글로도 설명할 수 없는 무언가를 우리로 하여금 이해하게 합니다.

   독일 출신의 예술 및 영화 이론가 루돌프 아른하임(Rudolf Arnheim)은 저서 『미술과 시지각(Art and Visual Perception)』에서 “미술 작품을 이해하는 것은 전적으로 주관적인 일이고 한 작품에서 모두가 똑같은 것을 볼 수 없다. 그러나 이것은 그림이나 조각이 단지 ‘옮겨놓은 스크린’에 불과하다는 것을 뜻하지 않는다. 모든 관람자는 그 스크린에 자기 마음의 그림자를 드리우는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저는 유년 시절 미술 학원에서 생긴 집착으로 미술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저에게는 ‘알록달록’이라는 형식적 요소가 무척 중요했습니다. 아무도 시킨 적 없음에도 모든 칸에 서로 다른 색을 칠하려고 부단히 노력한 기억이 생생합니다. 그것이 사람이어도 선으로 나뉜 각 면은 모두 다른 색으로 칠해야 했습니다. 이렇게까지 ‘알록달록’¹에 집착한 이유는 그 시절, 제가 바라본 세상은 흑과 백에 들지 않으면 인정받지 못하는 사회였기 때문일 것입니다. 제게 알록달록한 그림은 다양한 색채의 사람이 모두 인정받고 어우러지는 세상이 왔으면 하는 소망이자 잠시나마 위안을 주는 도피처였습니다.

   그러니까, 누구나 제 삶의 경험을 바탕으로 작품에 마음의 그림자를 드리우게 됩니다. 예술 작품을 바라보며 오해나 미숙한 해석을 반복할지라도, 예술 작품을 감상하는 일은 오롯이 자기 자신과 관계 맺기에 의미 있습니다. 어쩌면 다른 어떤 여가와 인간관계에서도 해결할 수 없는 찌뿌둥함은 예술만이 해소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지금 당신의 삶에는 어떤 갈증이 있나요? 당신은 어떤 싸움을 하고, 또 어떤 화해를 하며 살아가고 있나요? 작품에 드리운 마음의 그림자를 따라, 마음에 응어리진 이전의 관계에서 벗어나 새로운 관계를 경험합시다.
                                  
¹ ‘알로록달로록’의 준말. 여러 가지 밝은 빛깔의 점이나 줄 따위가 조금 성기고 고르지 아니하게 무늬를 이룬 모양 (출처: 네이버 국어사전)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4. 나는꿈도잘안꾸는걸

나는꿈도잘안꾸는걸 현지 짙게 깔린 어둠을 배경으로 한 여자가 새하얀 옷을 입고 침대 위에 가로로 걸쳐 누워있다. 상반신은 완전히 뒤로 젖혀져 있고 팔과 머리는 침대 밑으로 늘어져 있다. 마치 깊게 잠든 듯하지만, 중앙의 커튼 사이로 여자를 바라보는 말과 탐욕스러운  표정의 괴물을 보아하니 좋은 꿈을 꾸고 있지는 않음을 알 수 있다. 원숭이 모습을 한 괴물은 그녀를 먹잇감처럼 바라보며 배 위에 앉아 여자를 누르고 있다. 이 괴물은 악마로, 서구 전설 속에 주로 등장하며 특히 혼자 잠자는 여성의 꿈속에 나타나 겁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침실의 커튼 사이로 고개를 내밀고 있는 말의 하얀 눈은 섬뜩하다. 벌름거리는 콧구멍, 살짝 벌어져 있는 입, 바짝 서 있는 귀는 말이 어떤 상태인지를 보여준다. 말 또한 성적 에너지를 상징하여, 여자가 꿈속에서 유린당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존 헨리 푸셀리(1741~1825)는 성적 충동이 불러일으킨 흥분과 쾌락, 공포와 두려움을 담아 그림을 그렸다. 무의식의 영역을 그림으로 옮긴 것이다. 〈악몽〉 을 보고 있으면, 오싹하고 무서운 기분이 들어 그림을 오랫동안 살펴보는 것이 어려웠다. 특히 말에 눈길이 닿으면 얼마 못 가 화면을 꺼야 했다. 나는 악몽을 거의 꾸지 않는다. 꿈을 꾸지 않는 편이며, 꿈을 꾸더라도 금방 잊어버린다. 그래서 꿈보다, 악몽 같은 현실에 압도되는 순간에 대해 말해보고자 한다. 이를테면 버스를 놓쳐서 약속한 시각에 늦을 위기에 처한 상황이다. (사실 늦었다) 한참 기다린 버스가 정류장에 도달했을 때, 집에 두고 온 챙겨야 했던 무언가가 생각난다. 시간 약속은 어기고, 물건은 빠뜨리고. 정말 중요한 물건이 아니라면 버스에 탑승하지만, 악몽이라면 깨어나고 싶은 순간이다. 이와 함께 코로나 시대의 대학생에게 사소한 현실에서의 악몽은 과제가 쏟아질 때이다. 과제를 받았을 때는 분명 넉넉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마감일이 다가올수록 밀려든 과제를 보며 이게 악몽이라면 제발 없어지길 하고 생각하곤 한다....

2. 우리는 화초이고 개구리이다

  우리는 화초이고 개구리이다 수연 2020년 여름, 엄마는 직장 동료한테 받았다며 ‘크루시아’라는 이름을 가진 열대 식물을 가져왔다. 엄마는 바쁜 직장 생활에도 크루시아에게 물 주기를 잊지 않았지만, 날씨가 추워지면서 크루시아는 모두가 집을 비웠을 때의 한기를 견디지 못했다. 여름 방학 때 크루시아를 처음 보고 겨울 방학을 맞이해 다시 얼마간 본가에 다녀온 나는 파릇하던 식물이 반년 만에 시들어가던 모습을 보고 생각에 잠겼다. 좁은 화분에 겨우 뿌리를 내리고 힘겹게 자리 잡은 식물은 인간의 미적 관상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손수 길러진다. 식물은 스스로 끊임없이 변화하고 성장하지만, 이는 화분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인간의 관리와 제약 아래 이루어진다. 화분 속 식물에서 현대 사회의 그늘 아래 발버둥 치는 우리의 모습이 보였다. 개인으로서 인간은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사회 체제의 존속을 위한 수단으로 전락하기도 하며, 사회나 특정 집단의 규범에 따라 규격화되기도 한다.  화분에 심겨 길러지는 식물과 사회의 흐름 속에 힘없이 내던져진 인간.  현대인과 식물의 닮은꼴을 인지한 계기는  장성은의  〈 flowerpot〉 연작 이었다. 연작은 2009년에 제작된 4장의 사진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작품의 크기는 45X33.6cm로 동일하며, 모두 보존성을 높인 아카이벌 피그먼트 프린트(Archival Pigment Print)로 인쇄되었다. 동일한 크기와 인쇄 기법으로 제작된 4장의 사진에는 엇비슷한 광경이 포착되어 있다. 먼저 녹색 스타킹을 신은 사람이 다리를 꼬고 꽃문양과 꽈배기 패턴이 새겨진 흰 항아리 안에 서 있다. 전형적으로 관상용 식물의 화분으로 쓰이는 흰 항아리와 녹색의 다리는 은연중 ‘화분 속 식물’을 연상시킨다. 사진마다 다리를 꼰 자세나 스타킹의 색은 제각각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지 않으면 그 사실을 알기 힘들다. 게다가 화분은 방향만 살짝 틀었을 뿐 그 성질이나 모습 자체에서 변화를 찾을 수 없다. 1) ...

3. 예술 혐오

예술 혐오  아현 마이클 히스는 2002년 11월 3일자 《더메일온선데이 the Mail on Sunday》에 한 만평을 실었다. 한 남자가 미술 작품을 보며 깜짝 놀라는 장면이 담긴 그림으로, 작품 옆에는 터너 상을 받은 작품이 테이트 미술관에서 전시되고 있음을 명시하는 팻말이 있다. 지루함을 느끼는 남자가 감상하는 작품에는 이런 글이 잔뜩 적혀있다. “여기서 하는 말은 전부 헛소리예요! 예술로 할 수 있는 건 아무것도 없어요. 다섯 살짜리 어린애가 사람들의 관심을 끌려고 하는 속임수와 다를 게 없다고요. (…) 여하튼 당신, 그걸 보러 온 거군요. 그래서 그 바보가 누구던가요? 기왕 여기 온 김에 시원한 우리 레스토랑에 들어와서 산뜻한 화이트 와인 한 병 곁들이며 점심이나 먹는 건 어떨까요?”¹ ‘더 메일 온 선데이’는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는 영국의 신문사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일요일에 신문을 간행하며 영국인이 가장 많이 읽는 신문이기도 하다. 바로 그런 신문사에서 ‘예술’을 꼬집는 만평이 실렸다. 아니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예술을 ‘예술’로 떠받드는 이들을 겨냥하였다. 언제부터인지 모르겠지만 예술은 대중과 멀어진 것 같다. 미술사를 공부하면 가장 먼저 배우게 되는 선사시대의 동굴벽화는 주거공간과 밀접한 곳에서 시작되었지만(호모사피엔스의 생활 양식상 어쩔 수 없는 결과였을 테지만 넘어가도록 한다), 현재 예술은 일상의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 있다. 예컨대 유명한 미술관이나 갤러리에 가서 전시를 감상해보자. 여기서 또 다른 조건으로 당신은 예술을 따로 공부하지 않은 사람이라 가정해보자. 그런 당신이 입장한 전시장의 장면은 참 낯설다. 작품 하나하나에 달린 캡션을 봐도 무엇을 말하는지 모르겠고, 도슨트 해설이나 리플렛, 월 텍스트를 읽으면 전문 용어와 미술사에 대한 전문 지식이 요구된다. 분명 인류의 보편적인 이야기나 복잡한 현대 사회에 관해서 말하는 것 같은데, 잘 모르겠다. 이는 비단 비전공자의 상황에만 해당하지 않는다. 예술을 공부하는 사람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