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남아라, 예대생(1)
알렉시스
낮일까, 밤일까? 중학교 2학년, 미술책에서 접한 질문이다. 르네 마그리트의 <빛의 제국>(1954)에 관한 이 질문은 예술에 대한 나의 시각을 완전히 바꿔놓았다. 질문을 접하고나서 당연하게 낮이라 생각했던 그림 속 배경이 밤인지, 낮인지 알 수 없어졌다. 이 그림을 시작으로 르네 마그리트와 초현실주의를 탐구했고, 결국은 예술에 대해 더 알고 싶어 큐레이터학과에 편입했다.
드디어 졸업생이 된 2021년, 그렇게 나는 취준생이 되었다. 그리고 인생의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취준생이 되면 공무원 시험 공부를 하거나 취업 준비 스터디 모임에 참여하는 등 ‘나 취준생이에요. 건들지 마세요!’라고 알리고 다녀야 하는 줄 알았다. 하지만 취준생이 되어보니 내가 경험했던 대학 입시와 같다는 걸 깨달았다. 같은 목표를 향해가는 수 많은 경쟁자들 그리고 그들 중에서 뛰어난 한 사람이 되기 위해 치러야 하는 여러 시험과 자기소개서 작성이 상위권의 내신과 수능 성적, 화려한 자기소개서로 치환된 것 같았다. 어지러울 정도로 많은 요구사항 가운데에서 ‘완벽’하기란 얼마나 까탈스러운지. 그들이 요구하는 ‘완벽’한 사람이 되면, 학예사가 아니라더라도 어디에서든 남부럽지 않게 일할 수 있을 것 같았다.
일반적인 취준생들 즉, 대학을 갓 졸업한 사람들이 정확히 취업을 위해 무엇을 하는지 모른다. 그래도 그들의 사정이 우리와 별반 다르지 않겠거니, 한다. 예술대학 혹은 미술대학을 졸업하면 보통 예술인으로서 활동하거나 대학원에 진학하거나 기관에 취직할 것 같다. 그러나 현실은 더 복잡하고 암담하다. 예를 들어, 어느 미술관의 학예사로 취직하고 싶다고 가정해보자. 아마도 경력과 학위를 요구할 것이다. 경력을 쌓기 위해서는 인턴이나 예비학예인력이 되어 미술관, 갤러리, 대안공간 등에서 일해야 한다. 그리고 그곳에서 일하기 위해서는 준학예사 자격증 필기시험 합격증, 공모전 활동, 외국어 자격증, 디자인 툴을 다루는 능력, 미술관이나 갤러리 등에서 일했던 경험, 그리고 예술 관련 학위 따위가 필요하다. (게다가 학예사의 자리는 암묵적으로 석사 학위를 요구한다.) 심지어 이러한 요건은 해가 갈수록 늘어만 간다. 짐작이 되는가? 얼마나 악독한지?
그렇다고 학예사나 큐레이터가 높은 연봉을 받는 직업도 아니다. 고학력에 박봉. 어쩌면 모든 전시기획자 특히 현대미술 전시기획자들은 “성채”에 산다는 존 버거의 글이 아직까지도 유효할런지도 모른다. 미술관 지붕 아래 예술작품을 소유함으로써 생기는 특권이 엄중한 공적 책임으로서 자신들에게 맡겨졌다는 자부심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미술계 말이다. 어쩌면 그 미술계의 공적을 보며 감탄하고, 그 미술계가 일하는 모습에 반해 이 길을 선택한 내가 더 모순적이겠다.
무엇이 나를 이렇게 괴로운 기로에 놓았냐고 묻는다면, 한 전시가 떠오른다. 정확한 날짜는 몰라도 그 전시를 본 날의 날씨와 옷차림, 동행인의 반응을 정확히 기억한다. 그 무렵의 나는 영화과 진학을 준비하다가 반복되는 불합격과 좌절을 겪었다. 그래서인지 예술계에 발 딛는 것조차 두려웠다. 그러한 와중에도 전시는 예상을 뛰어넘을 만큼 나를 매료시켰다.
그 날은 감사하게 여긴다. 그 전시를 봤기 때문에 큐레이터가 되기로 결심했고, 자랑스럽게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열심히 공부하여 큐레이터학과의 졸업생이 되었으며, 지금은 큐레이터가 되기 위해 여기저기 밟히며 꿈틀대고 있다. 나는 지금 예술기관 어디에도 속하고 있지 않다. 이 글을 쓰면서도 꽤 많은 곳에 인턴과 예비학예인력, 전시운영 스탭 지원서를 넣었지만 아직 합격 메시지를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나를 어디에 놓아야 할 지 모르던 때에 ‘이곳이 네가 있을 곳’이라고 인사해준 ‘그 전시’를 만났기 때문에, 마침내 이곳에 정착하고자 한다. 예술계가 나를 외면하고 무시하더라도, 나는 그 이상을 바라보겠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