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4. 나는꿈도잘안꾸는걸

최근 글

3. 예술 혐오

예술 혐오  아현 마이클 히스는 2002년 11월 3일자 《더메일온선데이 the Mail on Sunday》에 한 만평을 실었다. 한 남자가 미술 작품을 보며 깜짝 놀라는 장면이 담긴 그림으로, 작품 옆에는 터너 상을 받은 작품이 테이트 미술관에서 전시되고 있음을 명시하는 팻말이 있다. 지루함을 느끼는 남자가 감상하는 작품에는 이런 글이 잔뜩 적혀있다. “여기서 하는 말은 전부 헛소리예요! 예술로 할 수 있는 건 아무것도 없어요. 다섯 살짜리 어린애가 사람들의 관심을 끌려고 하는 속임수와 다를 게 없다고요. (…) 여하튼 당신, 그걸 보러 온 거군요. 그래서 그 바보가 누구던가요? 기왕 여기 온 김에 시원한 우리 레스토랑에 들어와서 산뜻한 화이트 와인 한 병 곁들이며 점심이나 먹는 건 어떨까요?”¹ ‘더 메일 온 선데이’는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는 영국의 신문사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일요일에 신문을 간행하며 영국인이 가장 많이 읽는 신문이기도 하다. 바로 그런 신문사에서 ‘예술’을 꼬집는 만평이 실렸다. 아니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예술을 ‘예술’로 떠받드는 이들을 겨냥하였다. 언제부터인지 모르겠지만 예술은 대중과 멀어진 것 같다. 미술사를 공부하면 가장 먼저 배우게 되는 선사시대의 동굴벽화는 주거공간과 밀접한 곳에서 시작되었지만(호모사피엔스의 생활 양식상 어쩔 수 없는 결과였을 테지만 넘어가도록 한다), 현재 예술은 일상의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 있다. 예컨대 유명한 미술관이나 갤러리에 가서 전시를 감상해보자. 여기서 또 다른 조건으로 당신은 예술을 따로 공부하지 않은 사람이라 가정해보자. 그런 당신이 입장한 전시장의 장면은 참 낯설다. 작품 하나하나에 달린 캡션을 봐도 무엇을 말하는지 모르겠고, 도슨트 해설이나 리플렛, 월 텍스트를 읽으면 전문 용어와 미술사에 대한 전문 지식이 요구된다. 분명 인류의 보편적인 이야기나 복잡한 현대 사회에 관해서 말하는 것 같은데, 잘 모르겠다. 이는 비단 비전공자의 상황에만 해당하지 않는다. 예술을 공부하는 사람도 한 작품

2. 상실과 환대의 시나리오

상실과 환대의 시나리오 강리 사이프러스의 잎사귀를 스치는 밤공기는 잿빛이 감도는 코발트색이다. 짙은 파란색이 자아내는 스산함을 재빠르게 가로지르는 백색 구름이, 하얗게 빛나는 보름달을 감싸 안는다. 달빛은 어둠 속에서 형체를 길어올린다. 그러자 고대 로마의 벽돌 피라미드가 드러난다. 하늘을 향해 가파르게 올라가는 피라미드의 날카로운 모서리는 명과 암을 분명히 구분한다. 피라미드의 밝은 면을 따라 시선을 낮추면, 나란히 서있는 세 개의 조형물이 보인다. 왼편에는 경사진 지붕을 이고 있는 함(函)이 있고, 오른편에는 좌대 위에 올라간 좁은 주둥이에 부푼 배를 가진 검은 트로피가 있다. 가운데에는 유려한 곡선으로 꾸며진 연분홍빛 공예품이 있는데, 피라미드 뒤편에 서있는 무뚝뚝한 도리아식 기둥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를 풍긴다. 세 조형물 앞에는 두 개의 지석이 놓여있다. 달빛이 지시하는 방향을 따라 화면의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는 시선은, 그 둘 중 리스(wreath)가 놓인 지석으로 향한다. 지석이 있는 풀밭 위로 달빛이 연극 무대의 스포트라이트처럼 쏟아진다. 달빛을 받아 마치 한낮처럼 빛을 발하는 대지는 불안하고 으스스한 기운이 감도는 대기와 부딪히며 긴장감을 조성한다. 처음 이 극적인 장면에 접했을 때, 내가 알고 있는 정보는 단 둘이었다. 작가와 제목, 그러니까  표도르 브루니가 그린 〈차르 알렉산드르 2세의 총독, M. K. 드 머더의 무덤〉 이라는 사실이 전부였다. 이런저런 정보를 뒤적였지만, M. K. 드 머더에 관하여 알려진 바는 거의 없었다. 그나마 아카돌리코 묘지¹에서 2016년에 열린 전시《피라미드의 발치에서: 로마 외국인 묘지의 300년》의 카탈로그에서 머더로 추정되는 인물에 관한 정보를 딱 한 문장 얻을 수 있었다. “1834년에 그의 시신은 모스코바로 송환되었다. (1834; his body was repatriated to Moscow.)”² 브루니가 작품을 완성한 시점은 1835년이다. 그러니까 브루니가 그림을 그렸을 무렵에는 이미 그의 무덤

1. 검색해보니 일기도 에세이라고 하더라

검색해보니 일기도 에세이라고 하더라 수연 2021년 4월 2일 금요일 아니, 그렇게 자꾸 쳐다보시면… 흥미로운 글쓰기를 시작했다. A가 단어를 제시하면 B가 작품을 찾는다. C는 그에 관한 글을 에세이로 쓴다. D는 C가 쓴 글을 보고 A가 처음 제시한 단어를 맞히게 될 것이다. 이번에 나는 C의 역할을 맡았다. 전적으로 앞 사람의 결정에 따른 글쓰기다. 작품이 내 마음에 와닿지 않아도 일단 써야 한다. 솔직히 글과 작품만을 보고 이루어진 온갖 추측의 결과가 한 단어에 귀결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들지만, 재밌으면 됐지, 뭐. 답을 맞히는 입장은 아니지만 한 번 추측해보자면, ‘응시, 표정, 얼굴, 시선…’ 정도. 그건 그렇고, 그렇게 자꾸 쳐다보시면 부담스러워요. 등장인물의 ‘빤한’ 시선이 부담스럽다. 글을 쓰려면, 작품을 오래도록 보아야 하는데······. 작품은 보는 사람마다 각자의 사연에 따라 감상하기 마련인데, 내 사정을 대입해 표현하자면 一 작품에 묘사된 등장인물의 눈이 글을 쓰라고 재촉하는 것 같다. 그러나 오늘은 기분이 나지 않으므로 패스. 오늘의 반성 : 글을  못 썼다.   아니 안 썼ㄷ… 내일의 계획 : 얼리버드가 되겠다. (대충 일찍 일어나겠다는 소리) 2021년 4월 4일 일요일 결국 저 눈이 문제야 3시간째. 그냥 보고만 있다. 여전히 올곧은 눈빛이다. 작품에 집중하지 못하고 있다. 저 시선을 어디선가 보았다. 그 장면을 회고한다. 분명히 작품에 시선을 두고 분석하는 주체는 나다. 그런데  정이지의 〈Season of Fig 3〉 는 나를 분석하려 든다. 응시의 대상이 된 나는 끊임없이 분열된다. 살짝 옆으로 튼 얼굴로 감상자를 곧게 바라보는 시선에 미간이 뚫린다. 一 아릿하다. 시선은 미간의 표피를 통과해 회백색 대뇌겉질(두께 2~4mm 정도의 얇은 살점에 불과하지만 기억, 언어 등 인간 활동의 중요 부분을 차지하는 부위)에 도달한다. 자극을 받은 뇌에서 기억이 피어오른다. 기억은 잠시 뒤로 하고 임무로 돌아가자. 무채색 계열의 냉랭한

3. 의자가 쏘아올린 작은 별

  의자가 쏘아올린 작은 별 현지 가보고 싶었던 음식점 근처에 우연히 ‘아마도 예술공간’이 있었다. 때마침  전시 《홀로 작동하지 않는 것들》 이 열리고 있었고, 가벼운 마음으로 전시장에 방문했다. 여기도 작품이 있을지 의문을 자아내는 지하 공간으로 내려가니, 전시실에서 은은한 빛이 새어 나오고 있었다. 지하의 눅눅하고 어두운 분위기가 무서운 느낌을 주었으나, 동시에 비현실적인 분위기도 느껴졌다. 약간의 공포를 누르고 전시실 밖에서 새어 나오는 빛을 따라가니, 조명이 붙어있는 의자와 감자칩 한 바구니를 마주하게 되었다. 의자의 손잡이와 뼈대에는 나무토막이 덧대어져 있었으며, 그 위로 작은 스탠드 같은 조명이 세워져 자리를 비추고 있었다. 조명 아래로는 작은 선풍기가 돌아가고 있었다. 그리고 의자에 앉아 손만 뻗으면 닿을 위치에 감차칩 한 바구니가 있었다. 의자의 맞은편 바닥에는 은색 별이 붙어있었다. 마지막으로 '바닥에 앉아서 관람하는 작품입니다'라는 문구는 ‘앉으면 도대체 어떤 일이 벌어질까?’ 하는 호기심으로 나를 가득 채웠다. 공간을 채운 조명은 불이 꺼진 방을 홀로 밝히는 스탠드를 떠올리게 했다. 빛을 받은 의자는 몇 가지 장치가 달려 있었다. 그 모습이 마치 골드버그 장치(생김새나 작동원리는 아주 복잡하고 거창하지만 아주 간단한 일을 하는 기계)를 떠올리게 했다. 어린 시절 학교에서 흔히 보던 녹색 우유 상자가 의자 발 받침대로 설치되어 있었다. 우유 상자를 비집고 나온 실타래들은 마치 딱딱한 플라스틱이 포근한 발 받침대가 된 듯 착시를 불러일으켰다. 조심스럽게 의자에 앉아 선풍기 바람을 맞으며 커다란 은색 별을 바라보고 있었다. 그런데 갑자기 ‘쾅!’ 하는 소리와 함께 깜깜해졌다. 어두움을 무서워하는 나는 “악!” 비명을 지르며 의자에서 일어나지 못했다. ‘지금이라도 일어나서 나가야 하나’ 고민하고 있던 찰나, ‘지이이잉—’. 기계 돌아가는 소리가 나며 바닥에 납작하게 붙어있던 별이 하늘로 올라가기 시작했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별

2. 우리는 화초이고 개구리이다

  우리는 화초이고 개구리이다 수연 2020년 여름, 엄마는 직장 동료한테 받았다며 ‘크루시아’라는 이름을 가진 열대 식물을 가져왔다. 엄마는 바쁜 직장 생활에도 크루시아에게 물 주기를 잊지 않았지만, 날씨가 추워지면서 크루시아는 모두가 집을 비웠을 때의 한기를 견디지 못했다. 여름 방학 때 크루시아를 처음 보고 겨울 방학을 맞이해 다시 얼마간 본가에 다녀온 나는 파릇하던 식물이 반년 만에 시들어가던 모습을 보고 생각에 잠겼다. 좁은 화분에 겨우 뿌리를 내리고 힘겹게 자리 잡은 식물은 인간의 미적 관상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손수 길러진다. 식물은 스스로 끊임없이 변화하고 성장하지만, 이는 화분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인간의 관리와 제약 아래 이루어진다. 화분 속 식물에서 현대 사회의 그늘 아래 발버둥 치는 우리의 모습이 보였다. 개인으로서 인간은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사회 체제의 존속을 위한 수단으로 전락하기도 하며, 사회나 특정 집단의 규범에 따라 규격화되기도 한다.  화분에 심겨 길러지는 식물과 사회의 흐름 속에 힘없이 내던져진 인간.  현대인과 식물의 닮은꼴을 인지한 계기는  장성은의  〈 flowerpot〉 연작 이었다. 연작은 2009년에 제작된 4장의 사진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작품의 크기는 45X33.6cm로 동일하며, 모두 보존성을 높인 아카이벌 피그먼트 프린트(Archival Pigment Print)로 인쇄되었다. 동일한 크기와 인쇄 기법으로 제작된 4장의 사진에는 엇비슷한 광경이 포착되어 있다. 먼저 녹색 스타킹을 신은 사람이 다리를 꼬고 꽃문양과 꽈배기 패턴이 새겨진 흰 항아리 안에 서 있다. 전형적으로 관상용 식물의 화분으로 쓰이는 흰 항아리와 녹색의 다리는 은연중 ‘화분 속 식물’을 연상시킨다. 사진마다 다리를 꼰 자세나 스타킹의 색은 제각각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지 않으면 그 사실을 알기 힘들다. 게다가 화분은 방향만 살짝 틀었을 뿐 그 성질이나 모습 자체에서 변화를 찾을 수 없다. 1) 사회 : 구성원 = 관리자 : 식물 현대인은